IOM 국제이주기구
  • IOM
    • IOM
    • IOM 한국대표부
  • 이주란
  • GCM
  • IOM 활동
    • 이주
    • 카운터 트래피킹
    • 난민 재정착
    • 인도적 지원
    • 연구 및 정책
  • 자료실
    • 본부
    • 한국대표부
  • IOM 뉴스
    • 공지사항
  • 참여하기
    • IOM 캠페인
    • 긴급구호 인도적 지원
    • 트래피킹 피해 아동 지원
    • 후원 바로가기
  • 후원하기
  • IOM 본부
이주
국제이주는 현대사회의 중요한 특징입니다. 세계화의 영향으로 초국가적 네트워크가 출현하고 교통과 통신수단이 급격히 발달하면서 이주노동자와 학생, 난민을 포함한 다양한 이주자의 이동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주관리가 포괄적이고 투명하며 일관된 방식으로 이루어질 경우 이주 현상은 이주자 개인뿐 아니라 목적국과 출신국의 번영과 성장에도 기여합니다. 또한, 밀입국이나 트래피킹과 같은 비정규 이주문제도 해결될 수 있습니다. 전 세계에 걸친 전반적인 이주현상을 모두 관리하는 IOM의 활동에는 이주와 개발, 노동이주, 이주자 통합, 이주자 트레이닝, 자발적 귀환과 재통합 외에도 이주와 보건, 이주와 기후 변화와 같은 범분야적 주제와 최근 들어 중요성이 더욱 커진 이주와 국경관리가 포함됩니다.
이주와 개발(Migration and Development)
blit

목표: 국제 이주가 개발에 주는 긍정적인 영향을 강조함으로써 이주자의 개발 잠재력을 활용하고 지속가능한 개발과 빈곤 퇴치에도 기여합니다.

이주와 개발은 상호 의존 관계에 있습니다.이주는 본인의 의지에 따라 자발적으로 일어나거나 전쟁이나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비자발적으로 일어나는데 두 경우 모두 결국에는 정착국과 출신국의 개발에 이익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개발은 인간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선택권을 넓히며 시민들이 평등권과 존엄성이 보장된 안전한 환경에서 살게 합니다.이주와 개발의 관계는 전례없는 이동 현상을 겪고 있는 근래에 들어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이에 반응하여 IOM은 이 두 영역 사이의 긍정적인 관계를 최대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관련 IOM활동
이주와 개발 관련 IOM 활동으로는 정부와 지역 사회 역량 강화, 분쟁 지역 안정화, 지역 사회 개발, 사회적 프로그램 시행, 디아스포라 그룹과 출신국 연결, 정부 당국과 관련 기관의 파트너십 형성, 재능 기부 지원, 연구 등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출신국으로의 송금을 쉽게 하는 방법과 송금이 출신국의 개발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파악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수혜자
잠재적 이주자, 귀환 이주자, 이주자 가족, 디아스포라 집단, 지방 자치단체, 지역 정부, 중앙 정부, 민간 부문 등이 있습니다.
접근법
경제적인 이유로 일어난 이주에 대해서는 가난과 부패 등 이주가 일어날 수밖에 없었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여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무력 충돌로 인한 이주의 경우, 이주자가 복귀하기 쉬운 환경을 만들고, 수익 창출 활동을 통해 일자리를 제공하며, 디아스포라 그룹의 자원을 활용하여 출신국의 사회•경제적 발전을 도모합니다. 또한, 전체 이주자의 절반 정도가 여성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송금 프로젝트’를 포함한 개발 관련 활동에 성별에 따라 차별화된 접근방식을 사용합니다.
노동이주(Labor Migration)
blit

목표 : 이주노동자의 인권을 보호하고 노동이주의 이익을 최대화하여 이주가 이주 당사자뿐 아니라 모국과 정착국에도 이득이 되게 합니다.

국제노동이주(International Labor Migration)는 세계화의 주요 특징이 되었고 국제노동이주를 국내 개발과 취업 전략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보는 나라들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오늘날 약 1억5백만 명의 이주노동자가 있으며, 2011년 이주노동자들이 전 세계에서 벌어들인 4천4백억 달러 중 3천5백억 달러가 송금의 형식으로 개발도상국에 유입되었습니다. 제대로 관리된 노동이주는 이주자와 고용자뿐 아니라 정착국과 출신국 모두를 이롭게 합니다. 정착국은 노동력 부족을 해소하게 되고 출신국은 실업률을 낮추고 송금과 지식 유입, 사업 및 무역 네트워크 형성으로 인한 개발 이익을 얻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기여도에도 불구하고 많은 이주노동자가 취약 계층에 속하며 이주 과정에서 매우 위험한 상황에 처하기도 합니다.

관련 IOM활동
IOM은 효과적이고 투명한 노동이주를 촉진하는 정책, 법안, 행정 구조를 수립하기 위해 정부를 지원합니다. 또한, 출국 전 연수와 준비 과정을 통해 노동자 채용이 좀 더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며 새로운 직장과 사회에서 이주노동자의 통합을 돕기도 합니다.
수혜자
이주자와 가족들, 고용주, 지역 단체, 지역 사회, 정부, 민간 부문 등이 있습니다. IOM 의 다양한 노동이주 프로그램은 70여 개 국가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접근법
노동이주와 개발 사이의 시너지 효과를 이용하여 이주자와 사회 모두를 이롭게 하는 이주 정책과 프로그램을 개발합니다. 또한, 더 많은 노동 이주자들이 합법적으로 이주할 수 있는 법적 장치 마련을 지원하며 어려움에 처한 노동 이주자와 그들의 가족을 보호합니다.
이주자 통합(Migrant Integration)
blit

목표 : 이주자들이 정착국에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으로 통합될 수 있도록 하여 이주자와 정착국 사회가 공동의 목표를 이룰 수 있게 합니다.

‘통합’이란 단어는 국가가 처한 상황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정착국과 이주자 사이의 ‘상호 적응’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통합 과정은 이주자와 정착국 사회를 공동의 목표로 결속시키는 핵심 가치들에 대한 의무와 존경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주와 관련된 모든 이해 관계자에게 경제적•문화적 이득을 제공할 뿐 아니라 안정감을 주고 보호하는 역할도 합니다. 효과적인 통합정책 수립의 도전과제는 그 정책이 이주자의 인권과 평등권의 보호, 사회적 화합, 공중 보건, 교육, 취업, 귀화 및 시민권 문제 이외에도 지역 개발과 국가 안보와 관련된 주요 정책 분야들과도 맞아떨어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IOM은 정부와 비정부 기관 및 사설 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구체적인 통합 과제를 제시하고 합동(joint) 정책 전략과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식별해 냅니다.

관련 IOM활동
IOM은 정착국 내 이주자의 통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공 서비스 이용 지원, 이주 센터를 통한 이주자료 배포, 이주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언론 연수, 이주자 관련 교육과정 개발과 프로그램 질 향상, 인종 차별 반대 캠페인과 신뢰 구축 연수, 출국 전 연수와 출국 후 언어 교육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수혜자
이주자와 고용주, 지역 정부와 중앙 정부, 노동조합, 교육기관, 언론과 미디어 외에도 보호자가 없는 미성년자, 망명 신청자, 재정착 난민 등의 취약 계층도 포함합니다.
접근법
이주자의 성별, 나이, 체류기간, 정착국의 문화∙경제∙사회적 경향을 모두 고려하여 통합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제공되는 프로그램은 일부 유럽 국가, 미국, 캐나다, 호주 같은 전통적인 정착국의 성공적인 통합 사례를 바탕으로 개발한 것입니다. 또한, 직장 내 차별과 고용시 불이익을 막기 위해 민간 부문 고용주의 인식 제고를 도와 경제적 통합을 돕고, 종교적 지도자를 포함한 이주자 출신 리더를 위한 연수를 진행하여 사회∙정치적 통합을 돕습니다. 이 외에도 정착국에 성공적으로 통합된 이주자들이 중앙 정부나 지방 자치단체에서 다른 이주자들을 위한 조언자 역할을 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주자 트레이닝(Migrant Training)
blit

목표 : 이주자의 출국 전 교육을 맡아 함으로써 도착 후 빠른 사회통합을 돕고 이주자 통합에 드는 정착국의 부담을 줄입니다.

이주자 트레이닝은 근본적으로 이주자의 성공적인 정착국 내 통합을 위한 다양한 교육 활동을 가리킵니다. 이주자 트레이닝에 있어 IOM은 이주자의 문화적, 교육적, 사회∙경제적 배경을 고려하고 이주자와 정착국의 구체적인 필요를 수용한 맞춤형 접근법을 사용합니다. IOM은 이주자들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필수적인 기술들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동시에 성공적인 통합을 위해 정착국에서 지녀야 할 태도와 행동 변화에 관해서도 교육하고 있습니다. 인생의 전환기를 맞고 있는 이주자들은 이러한 교육 활동을 통해 새로운 삶에 대한 희망과 자신감을 얻습니다.

관련 IOM활동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제공된 IOM이주자 트레이닝의 약 86%는 재정착 난민과 인도적 입국자(humanitarian entrant)를 위한 정착국의 문화 및 언어 교육, 출국 전 교육 같은 출발 전 오리엔테이션이었으며, 나머지 14%는 이주노동자, 망명자, 결혼이주자, 이민비자 신청자, 트래피킹 피해자 가족을 대상으로 한 출국 전 교육, 고용 전 교육, 금융교육, 목적국 소개 강좌였습니다. 이러한 활동들은 50개 이상의 국가에서 수행되었으며 특히 아프리카, 아시아, 그리고 중동 지역에서 활발했습니다. 재정착 할당제(Resettlement Quota)가 증가하고 통합 정책이 국가들, 특히 유럽 연합 국가들에게 점점 중요해짐에 따라 IOM의 이주자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수혜자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자, 이주자 가족, 단기 외국인 노동자, 난민, 인도적 입국자들이 해당됩니다. 2001년부터 2010년까지 352,000명의 이주자가 IOM 이주자 트레이닝의 직접적인 수혜자였습니다.
접근법
모든 트레이닝의 목표는 의미 있고 실제적인 학습기회를 통해 참가자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데에 있습니다. IOM의 트레이닝은 학습자 중심의 소통적인 접근법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단지 사실을 담은 정보 뿐 아니라 필요한 기술과 태도를 교육하는데 강조점을 두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학습자들이 자기 자신을 표현할 기회를 많이 주는 것과 이주자의 심리•사회적 행복(well-being)을 고려하는 것 역시 IOM의 이주자 트레이닝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자발적 귀환과 재통합 지원(Assisted Voluntary Return and Reintegration)
blit

목표 : 모국으로 돌아가길 희망하는 이주자들의 질서 있는 귀환과 성공적인 재통합을 지원하고 이주관리에 대한 정착국과 출신국 사이의 국제적 대화를 촉진합니다.

자발적 귀환과 재통합은 정착국에 머무를 수 없거나 머물고 싶지 않아 자발적으로 출신국으로 돌아가길 원하는 이주자를 위한 활동으로, 출발 전부터 재정착 단계까지가 모두 포함합니다. IOM과 국내외 이해 관계자들에 의해 형성된 파트너십은 자발적 귀환과 재통합의 성공을 위한 필수적 요건이며, 이는 이주자들과 지역 사회, 그리고 정착국과 출신국 사이의 긴밀한 협력을 필요로 합니다.

관련 IOM활동
출발 전 정착국에서는 자발적 귀환과 재통합에 대한 인식제고, 이주자 커뮤니티에 정보 배포, 귀환과 재통합 과정에 대한 개인 상담 및 출신국 정보 제공, 취약 계층 특별 지원과 위탁 서비스, 단기 숙소 제공, 여행 문서 작성 지원 등이,경유국에서는 이동 및 필요시 호위 지원이,도착 후 출신국에서는 출입국 심사와 세관 및 환영 주선 지원, 최종 목적지까지 이동 지원, 창업 지원, 직업 교육, 의료 지원, 그리고 귀환이 개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역 역량 강화 활동 등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수혜자
거부된 망명자, 이재민, 트래피킹 피해자, 보호자가 없는 이주 아동, 건강상의 문제가 있는 이주자 등 출신국으로 돌아가고 싶지만 방법과 수단이 없는 이주자들이 지원을 받게 됩니다. IOM은 1979년부터 현재까지 120만 명이 넘는 이주민들의 자발적 귀환과 재통합을 도왔습니다.
접근법
IOM의 자발적 귀환과 재통합 지원 과정에 있어 핵심요소는 ‘자발성’이며 이주자의 권리와 존엄성이 보호되는 것이 기본 전제입니다. 이 밖에도 국제적 기준과 원칙을 준수하는 것, 출신국과 정착국 사이의 대화와 협력을 증진하는 것, 귀환한 자국민에 대한 출신국의 책임감을 강화하는 것, 지원 관계자 역량 강화를 위해 국내외 파트너와 협동하는 것, 비정규적 이주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는 것 역시 중요합니다.
기타활동 : 이주와 보건(Migration Health)
blit

목표 : 이주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복지를 증진하여 모국과 정착국의 사회적, 경제적 개발에 기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IOM은 다양한 보건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이주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복지를 위해 정부와 파트너 기관들의 협조하에 이주 보건 활동을 수행해 왔습니다. 정착국의 요청에 따라 재정착이 허용된 이들에 대한 출발 전 건강검진을 하여 말라리아나 기생충 등 유행성 질환 감염자들을 치료하며, 예방 가능한 질병의 관리를 위해서는 예방접종을 하고, HIV 검사 및 사후 상담을 제공합니다. 또한, 인신매매 피해자, 소집해제 군인, 이주노동자 등의 다양한 이동인구에게 생식건강, 정신건강, 예방접종, 환경위생 및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비상사태 시에는 비상 의료 대피를 시행하고, 손상된 보건 인프라 재건을 지원하기도 합니다. 이 외에도 정부와 관련 기관에 정책 자문을 제공하기 위해 연구 및 자료 출간도 합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이주자들은 건강을 지키고, 모국과 정착국에 기여할 수 있는 힘을 얻습니다.

기타활동 : 이주와 기후변화(Migration and Climate Change)
blit

목표 :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생기는 강제 이주를 최대한 막고 기후변화 적응전략으로써의 이주를 촉진합니다.

기후 변화는 강제이주를 일으키는 대표적 요인 중 하나입니다. 역으로, 이주 역시 주변 생태계에 영향을 주어 환경 변화를 일으킵니다. IOM은 이동 인구가 당면한 기후 변화와 관련하여 정책 대화 및 조언을 제공하며 해당 주제에 대한 지역 내 혹은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또한, 범분야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현존 자료를 개선하고 정책 관련 연구를 수행합니다. 이 외에도 급작스런 자연재해로 인한 이재 상황과 점차적인 환경 악화에 대응하는 활동들을 계발해 지역 사회에 잠재된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예상되는 환경 변화에 대한 회복력을 증가시킵니다. 이러한 활동들은 정부, 국제기구, NGO 외에도 다른 이해관계자와의 협력 아래 이루어집니다.

기타활동 : 이주와 국경관리(Migration and Border Management)
blit

목표 : 국가들이 다양한 이주와 국경 문제에 대한 정책, 법안, 행정구조, 운영 시스템, 인력 기반 등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최근 들어 이주 관리의 어려움으로 IOM에 도움을 요청하는 정부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IOM의 이주와 국경관리 팀은 숙련된 기술적 전문성과 다양한 국경 관리 경험을 가지고 있는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들은 IOM 본부 외에도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에 파견되어 도움이 필요한 국가들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주과 국경관리에 있어 IOM의 우선순위는 이주와 국경 관리 구조 개선, 비정규적 이주와 밀입국 감소, 이주자 권리 보호 강화, 국제 협력 증진 및 국제 기준과 국내 정책의 조화입니다.

Share the post "IOM 활동 – 이주"

  • Facebook
  • Twitter
  • Google+
  • E-mail

Find us on SNS

  • Facebook (IOM ROK)
  • Facebook (IOM)
  • Twitter (IOM ROK)
  • Twitter (IOM)
  • Youtube (IOM)
  • Flickr (IOM)

Donation

  • Humanitarian Emergencies
  • Counter-Trafficking
  • Donate Now
  • 신한은행 100-022-469260 (국제이주기구)

Press

  • IOM Newsfeed
  • Notice Board

About

  • IOM
  • IOM ROK
  • Publications
  • Campaigns
  • How to Find Us

Contact Info

  • Tel : 02-6925-1360
  • Fax : 02-6925-1361
  • E-mail : iomseoul@iom.or.kr
IOM 유엔 국제이주기구 한국대표부  서울특별시 중구 무교로 32 효령빌딩 13층 유엔 국제이주기구 (04521)  Copyright 2013. I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