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M 한국 대표부
한국 정부는 최근 몇 십 년간 급격히 늘어난 국내외 이주자의 보호를 위해 1988년 IOM의 정식 회원국이 되었습니다. 1999년 서울사무소가 처음 문을 연 이후 IOM 한국대표부는 정부 부처 및 타 정부 간 기구, NGO들과의 활발한 협력을 통해 국제이주에 대한 IOM 의 비전과 노하우를 한국 사회에 널리 알리고 있습니다.
한국대표부 약사

IOM의 모체가 된 PICMME (Provisional Intergovernmental Committee for the Movement of Migrants from Europe) 는 제2차 세계대전 후 유럽에서 창설되었습니다. 당시 유럽 각국의 정부는 천만명이 넘는 전쟁 난민들의 재정착을 지원했고 IOM은 이들을 도와 1950년대 동안만 백만 명에 달하는 이주민의 수송 절차를 대행했습니다. PICMME는 ICEM, ICM으로 개칭되면서 이주민 지원활동을 이어왔으며 1989년에 국제이주기구 (IOM)로 재탄생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한국대표부 주요사업

한국대표부는 특정 국가, 또는 이익 단체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운 정부 간 기구로서 민감한 국제이주 문제에 대해 객관적이고 정직한 중재자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대표부는 IOM의 활동 중 특히 국제이주, 카운터 트래피킹, 난민이동 지원, 인도적 지원을 네 가지 주력 사업으로 선정하였습니다.
이 외에도 한국대표부는 2009년 IOM, 대한민국 법무부, 경기도, 고양시와 협력하여 IOM 이민정책 연구소의 설립을 도왔습니다. (http://www.iom-mrtc.org/)
카운터 트래피킹


COUNTER-TRAFFICKING
IOM은 1994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트래피킹 방지와 피해자 보호 및 사회 재통합 지원 사업을 벌여오고 있습니다. 전 세계 100여 개의 국가에서 800개가 넘는 트래피킹 관련 사업을 진행하며 2만 명이 넘는 트래피킹 피해자를 도왔습니다. IOM의 한국 내 활동은 크게 모금활동 및 직접 지원, 피해 여성 실태조사, 국제전문가 회의, 그리고 출판으로 나누어집니다.
IOM 한국대표부 활동

모금활동 및 직접 지원
피해 실태조사 및 연구
국제전문가 회의
출판
-
2011년 「인신매매와 정신건강」출판한국대표부는 해외정부의 후원을 받아 트래피킹 상황이 종료된 후에도 계속 남아있는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방법을 ‘인신매매와 정신건강’에 담아 출판하였습니다.
-
2011년 IOM 트래피킹 방지 교육 지침서 시리즈 출판정부 및 기타 IOM 협력기관들이 필요로 하는 활동지침과 실용적인 교육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IOM이 출판한 「피해자 식별 및 인터뷰 기술」, 「직접 지원」, 「귀환과 재통합」을 번역하여 배포하였습니다.
-
2010년 「인신매매 피해자 직접 지원을 위한 IOM 핸드북」출판피해자 확인 시점에서부터 개별 대상자가 효과적으로 사회에 통합되는 단계에 이르기까지 트래피킹 피해자 지원의 전 과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지침과 조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